1. 사회의 암적인 존재 혹은 벌레취급을 받는 아웃사이더의 내면을 대변하다.
18세기 유럽의 '로코코' 풍을 지향하는 여고생 모모코. 모모코는 쾌락과 아름다움만을 추구하던 화려한 그 시대에 태어나고 싶었다. 모모코의 몸과 마음은 모모코가 사는 시골 마을(시모츠마)에 있지 않다. 도쿄의 디자이너샵에서 산 비싼 프릴 원피스만 입는다. 머리장식과 가방, 양산도 완벽하게 매치한다. 항상 혼자 다니며 달콤하고 예쁜 음식만 먹는다. 학교에선 누구와도 이야기하지 않고 체육시간에 참여하지 않는다. 혼자 걸으며 하늘로 두둥실 떠오르는 상상을 자주 한다.
은근 세상에 이런 사람 많다. 그러니까 자신만의 세계에 꽂혀 사는 사람들. 웬만하면 관계맺지 않는다. 왜 자기 취향을 드러내는걸 두려워해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 사실 대부분의 사람이 자신만의 이상 혹은 공상을 갖고 살아가겠지만 그걸 드러내는건 쉽지 않다. 하지만 모모코 부류의 인간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그래서 이들은 사회성 없다고, 공동체에 도움되지 않는다고 비난받는다. 손가락질 당한다.
그런데 손가락질하는 그 다수는 모모코보다 더 나은 인간인가? 모모코의 시선과 내면의 소리를 좇는 이 영화는 그게 아니라고 말한다. 모모코는 행복이 뭔지 안다. 본인이 무엇을 할때 행복해지는지 안다. 어린 나이이지만 자기를 행복하게 하는 것에 집중할 줄 안다. 행복을 붙잡는 것이 어렵다는 것도 안다. 커서 뭐가 될거냐는 친구의 물음에 "글쎄, 노동은 취미와 맞지 않아서" 라고 (한심한,,) 대답을 하지만, 본인이 잘 하는 일(자수 놓기)을 통해 당당히 돈을 벌기도 한다.
반면 자신의 내면은 방치해둔 채 사회가 정해준 기준에 맞춰 사느라 삽질하는 사람들은 어떤가?(바로 나) 한번이라도 내면의 소리, 내가 무엇을 할때 진정 행복해지는지 생각해본 적 있나? 나같은 사람이 모모코류의 사람들보다 생산활동에 조금 더 참여하고 조금 더 번다고 해서 모모코류의 사람들을 비난할 수 있을까? 그래선 안된다. 법을 어긴 것도 아닌데.
2. 하지만 아웃사이더에게도 관계맺음이 가능하다. 친구라는 존재는 아웃사이더가 몰랐던 행복을 알려준다.
모모코에게 이치코라는 친구가 나타난다. 까만 립스틱에 발목까지 오는 치마. 화려한 스쿠터를 타고 담배를 핀다. 모모코만큼이나 비주얼이 과하다. 이치코는 매일 모모코를 찾아온다. 모모코의 아싸 기질이 본인과 통한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나 둘의 차이가 있다. 모모코는 본인이 동경하는 세상이 현실(2000년대 초반 일본)과 너무 다르기 때문에 아싸가 됐다. 즉 주어진 환경이 로코코였다면 모모코는 아마 인싸였겠지. 하지만 이치코는 주어진 세상에 반항하는 방식으로 아싸가 되었다. 로코코에서 태어났어도 이치코는 아싸다.
그래서 모모코에겐 중심이 있다. 표정 변화도 감정 동요도 없다. 길을 걸을 땐 항상 똑바로 간다. 묻는 말에만 대답한다. 반면 이치코는 흔들린다. 정신없고 불안하다. 감정기복이 심하고 요란하게 스쿠터를 탄다. 불안하고 외로운 이치코는 친구를 원하기 때문에 모모코에게 매달린다. 같이 있고 싶어하고 자기 이야기를 끊임없이 한다.
결국 엔딩에서 모모코는 이치코와의 함께한 사건 후에 진짜 시원한 미소를 보여준다. 잇몸을 다 드러낸 상쾌한 웃음을 짓는다. 그러니까 자기 세계만 보고 사는 아웃사이더에게도 관계맺음이란, 친구란 불가능하지 않은 거다. 친구가 꼭 필요하다는 건 아니다. 하지만 나와 다른 존재와 관계맺음으로써 자기만의 행복의 정의에 없었던 새로운 행복을 마주할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영화 film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 <우리에게 내일은 없다(Bonnie and Clyde)>(1967) 로저 에버트(1967) 리뷰번역 (0) | 2018.07.27 |
---|---|
영화 : <노트북>(2004) 로맨스 서사의 문제 (0) | 2018.07.05 |
영화 : <오션스8>(2018) , 여성들의 전략에 관하여 (0) | 2018.06.20 |
영화 : <배드 지니어스>(2017), 태국영화에 관하여 (0) | 2018.06.11 |
영화 : <버닝>(2018), 한국의 지금 여기 (0) | 2018.06.02 |